- 📌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개요
- 📌 1. 정보처리기사란?
- ✅ 정보처리기사의 활용도
- 📌 2. 정보처리기사 시험 일정 및 응시 자격
- ✅ 2025년 정보처리기사 시험 일정
- ✅ 응시 자격
- 📌 3. 필기 시험 개요
- ✅ 필기 시험 합격 기준
- 📌 4. 실기 시험 개요
- ✅ 실기 시험 주요 평가 항목
- 📌 5.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 과목별 학습 가이드
- ✅ 소프트웨어 설계
- ✅ 소프트웨어 개발
- ✅ 데이터베이스 구축
-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 📌 6.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대비 전략
- ✅ 실기 시험 대비 방법
- 📌 7. 정보처리기사 최신 기출 문제 분석 (2025년 반영)
- 📌 8. 정보처리기사 합격 전략 및 공부 방법
- ✅ 필기 시험 합격 전략
- ✅ 실기 시험 합격 전략
- ✅ 단기 합격을 위한 효과적인 공부 루틴
- 📌 9. 정보처리기사 기출 문제
- ✅ 기출 문제
- 📌 10. 정보처리기사 공부 자료 및 추천 교재
- 📌 결론 및 최종 합격 TIP

📌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완벽 가이드 (2025년 기준)
정보처리기사는 대한민국 국가기술자격으로, 과거에는 쉽게 딸 수 있는 자격증으로 인식되었습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2020년도 이후부터 지금까지 변별력을 갖추기 위해 난이도 및 시험유형을 개편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평균 합격률이 20 ~ 30%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개요
구분 | 내용 |
자격증 명 | 정보처리기사 |
주관 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
응시 자격 | 4년제 전공/비전공 졸업자 응시 가능 / 전문대 졸업인 경우, 2년 이상의 실무 경력 필요 |
합격 기준 | 필기 + 실기 |
과목별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 |
시험 일정 | 연 3회 (Q-net 공지 확인) |
유효 기간 | 평생 유효 |
* 정보처리기사 실기/필기 합격률
연도 | 필기합격률 | 실기합격률 |
2024 | 60.8% | 28.9% |
2023 | 59% | 21% |
2022 | 56.1% | 20.8% |
2021 | 63.6% | 30.8% |
2020 | 57.3% | 17.7% |
2019 | 58.2% | 51.4% |
2018 | 51.4% | 50.5% |
2017 | 42.6% | 27.4% |
2016 | 47.9% | 65.5% |
2015 | 51.4% | 56.2% |
2014 | 46.9% | 41.4% |
2013 | 45.9% | 65.6% |
2012 | 42.7% | 64.4% |
2011 | 39.7% | 57.9% |
2010 | 32.7% | 44.1% |
2009 | 39% | 61.8% |
2008 | 38.8% | 34.6% |
2007 | 58.7% | 31.4% |
2006 | 61% | 78.1% |
2005 | 49% | 76.8% |
2004 | 55.2% | 74.8% |
2003 | 57.5% | 74.2% |
2002 | 56% | 72.4% |
2001 | 46.9% | 62.2% |
1977 ~2000 |
39.2% | 39% |
소 계 | 49.4% | 48.9% |
📌 1. 정보처리기사란?
정보처리기사는 국가공인기술 자격증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 등 다양한 기술을 검증하는 시험입니다. 이전엔 단순 암기로 취득할 수 있는 난이도가 낮은 자격증으로 IT 개발자로서 큰 이점이 있는 자격증은 아니였습니다. 현재도 이러한 인식이 있어 개발회사에서의 활용도는 낮을 수 있으나, 일부 사기업 및 공공계열, 전산직 공무원 등에서 필수 혹은 가산점이 있는 자격증입니다.
✅ 정보처리기사의 활용도
- 전산직 공무원 가산점
- 취업 혹은 이직에서 넣을 수 있는 자격증으로 공기업 또는 공기업에서는 기사 자격증 소지자에 대한 가산점이 있을 수 있음
- SI 계열 일부 사기업에서 활용될 수 있음
- 주의) IT 서비스회사, 일명 네카라쿠배 계열의 개발회사에서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음.
📌 2. 정보처리기사 시험 일정 및 응시 자격
정보처리기사 시험은 1년에 총 3회 시행되며, Q-net에서 공지되는 일정에 따라 응시할 수 있습니다.
✅ 2025년 정보처리기사 시험 일정
https://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320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www.q-net.or.kr
정보처리기사(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2025년 정기 기사 1회 2025.01.13
~
2025.01.16
[빈자리접수 : 2025.02.01
~
2025.02.02]2025.02.07
~
2025.03.042025.03.12 2025.03.24
~
2025.03.272025.04.19
~
2025.05.092025.06.13 2025년 정기 기사 2회 2025.04.14
~
2025.04.172025.05.10
~
2025.05.302025.06.11 2025.06.23
~
2025.06.262025.07.19
~
2025.08.062025.09.12 2025년 정기 기사 3회 2025.07.21
~
2025.07.242025.08.09
~
2025.09.012025.09.10 2025.09.22
~
2025.09.252025.11.01
~
2025.11.212025.12.24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임
- 시험 일정은 종목별, 지역별로 상이할수 있음
- '접수 일정 전에 공지되는해당 회별 수험자 안내(Q-net 공지사항 게시)' 참조 필수
✅ 응시 자격
정보처리기사 응시는 학력 및 경력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대학 졸업(예정)자: IT 관련 학과 전공자 및 4년제 전공이면 모두 응시 가능
- 전문대 졸업자: 관련 분야 2년 경력 필요
📌 3. 필기 시험 개요
필기 시험은 객관식 4지선다형으로 총 5과목으로 구성됩니다.
과목명 | 주요 내용 |
소프트웨어 설계 | 개발 방법론,패턴 |
소프트웨어 개발 | 프로그래밍 기초, 테스트 케이스나 개발방법, 인터페이스 등 개발 관련과 일부 운영체제 과목도 통합되었음 |
데이터베이스 활용 | SQL, 정규화, 트랜잭션 관리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프로그래밍 기초적인 개념과 특성 (객체지향, 프로그램 언어 JAVA , C, Python) |
정보 시스템 구축 관리 | SW, HW 시스템 구축 및 신기술용어, 보안 , 암호화 알고리즘 등 |
✅ 필기 시험 합격 기준
- 과목별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 과락이 있으면 불합격
📌 4. 실기 시험 개요
실기 시험은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베이스 등 전반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 실기 시험 주요 평가 항목
- SQL 활용 능력
-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 네트워크 및 보안 지식
- 실무 프로그래밍 문제 해결 능력
📌 5.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 과목별 학습 가이드
각 과목별로 중요한 개념과 출제 빈도가 높은 내용을 정리합니다.
✅ 소프트웨어 설계
-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 미들웨어 종류 (DBMS, RPC, MOM, WAS 등 ) / 저장장치 ( DAS )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 애자일 방법론, XP, 스크럼 등 )
- 프로젝트 관리 ( 일정계획 방법론, 비용측정공식, 비용측정 방법론 - 하향식 , 상향식 )
- 생명주기 모형 - 폭포수, 나선형, V모형
- 요구사항 정의 , 검토 , 화면설계, 애플리케이션 설계 (모듈의 평가 기준)
✅ 소프트웨어 개발
- 자료구조 (스택, 큐)
- 이진트리 탐색, 선회 ( 중위 , 전위, 후위 )
- Hash, 정렬, 빌드 자동화(젠킨스, 그래들)
- 테스트 실행기법(화이트박스, 블랙박스)
- JSON, XML
-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도구
✅ 데이터베이스 구축
- 각 스키마의 정의 및 특징
- RDBMS 관련 정리
- 트랜잭션 특성(ACID, 원자성 일관성 고립성 지속성) 및 정규화
- 물리 데이터 베이스 설계
- 빅데이터 관련 (하둡)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리팩토링, 클린코드
- 객체지향
- UML 다이어그램
- 디자인패턴
- 운영체제 일부 - UNIX, 데드락 등
- JAVA, C, Python 기본 문법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 OSI 7계층, TCP/IP, UDP
- 신기술 동향
- 정보보안, 보호 (XSS, CSRF)
- 네트워크 공격 기술 ( 스푸핑, 스니핑, 디도스)
📌 6.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대비 전략
실기 시험은 필기와 다르게 SQL 및 프로그래밍 언어, 코딩에 대한 이해도가 중요합니다.
✅ 실기 시험 대비 방법
- SQL 연습: 다양한 SQL 문제를 풀어보며 쿼리 작성 및 이해 능력 향상
- Java 및 Python , C언어 기초적인 문법 학습 ( static 변수 및 For Loop , equals(), list, 문자열 등등 )
- 기출 문제 풀이: 실기 기출 문제를 최소 5년치 분석
📌 7. 정보처리기사 최신 기출 문제 분석 (2025년 반영)
최신 기출 문제를 분석하여 출제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0년 개정 이후로 단순 기출 문제를 통한 문제 은행 식 암기로 통과는 불가능해졌습니다.
다만 기출문제 풀이를 통한 유형 학습과 이론 및 실기에 대한 대비는 아직 중요합니다.
연도 | 주요 출제 경향 |
2023년 | 코딩 문제 및 C언어, Java의 언어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요하는 문제가 대거 출제 |
2024년 | 전공자 위주의 문제 비중 증가 및 이론대비 코딩의 난이도가 올라감 |
2025년 예상 |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의 가치를 올리기 위해 점점 전공 및 배경지식 등 전반적인 난이도가 올라가고 있음. |
📌 8. 정보처리기사 합격 전략 및 공부 방법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준비할 때, 체계적인 공부 방법과 전략이 필요합니다. 필기와 실기 모두 난이도가 있는 편이므로, 단순한 암기보다는 이해 중심의 학습이 중요해졌습니다.
✅ 필기 시험 합격 전략
필기 시험은 5개 과목(소프트웨어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정보 시스템 구축 관리)으로 구성되며, 객관식 4지선다형입니다.
1️⃣ 출제 비중이 높은 과목부터 집중 공략
과목별 출제 비중을 확인하고, 점수를 가장 쉽게 올릴 수 있는 과목부터 공략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전공자라면 전반적으로 각 과목별로 학습을 적당히 하면 합격이 가능하지만, 비전공자의 경우 처음엔 단어나 용어 암기 위주인 과목 1,2,5 를 먼저 학습한다. 다만 결국 필기에서부터 기초를 다지는 것이 실기 공부에서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단순 암기 위주의 학습보단 철저한 이해를 하면 넘어가는 게 좋습니다.
2️⃣ 기출 문제 반복 학습
- 최근 5년간 기출 문제를 반복 풀이하며 문제 유형을 익힙니다.
-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문제를 출제하는 경향이 있어 최근 2~3년 문제를 집중적으로 학습합니다.
- 틀린 문제는 개념을 다시 공부하고, 비슷한 문제를 추가로 풀어본다. (오답노트)
3️⃣ 과락 방지 전략
-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은 과목별 40점 이상 + 평균 60점 이상이 필요합니다.
- 특정 과목에만 집중할 경우, 일부 과목에서 과락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든 과목을 균형 있게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기 시험 합격 전략
실기 시험은 필기보다 난이도가 높으며, 단순한 개념 이해가 아니라 실제 코딩 능력과 SQL 활용 능력을 평가합니다.
1️⃣ 실전 SQL 문제 연습
실기 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SQL 쿼리 작성입니다.
- 기본 SQL 문법: SELECT, INSERT, UPDATE, DELETE
- 고급 SQL 문법: JOIN, 서브쿼리, 윈도우 함수
- 실제 데이터베이스 활용: MySQL, Oracle DB 등을 사용해 실습
2️⃣ 알고리즘 및 프로그래밍 연습
- 실기에서는 알고리즘을 직접 구현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습니다.
- Python, Java, C 중 한 가지 언어를 선택해 알고리즘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자료구조(배열, 리스트, 해시, 트리)와 기본적인 알고리즘(정렬, 탐색, DFS/BFS)을 통해 확실히 익혀야 합니다.
3️⃣ 실기 기출 문제 분석 및 모의고사 풀이
- 최근 3년간 기출 문제를 분석하여 반복 출제되는 유형을 익힌다.
- 실기 시험은 직접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중요하므로 모의고사 형식으로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단기 합격을 위한 효과적인 공부 루틴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2~3개월 안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공부 계획이 필수입니다.
기간 | 학습 목표 |
1~2주차 | 필기 이론 정리 + 기출 문제 풀이 시작 |
3~4주차 | 필기 실전 문제 풀이 + 오답 정리 |
5~6주차 | 실기 SQL & 알고리즘 문제 풀이 집중 |
7~8주차 | 실기 기출 문제 풀이 + 모의고사 연습 |
하루 공부 시간 예시
- 필기 시험 준비: 하루 2~3시간 (이론 1시간 + 문제 풀이 2시간)
- 실기 시험 준비: 하루 3~4시간 (SQL 2시간 + 코딩 2시간)
📌 9. 정보처리기사 기출 문제
정보처리기사 기출 문제를 활용하는 것은 합격의 지름길입니다.
✅ 기출 문제
기출 문제는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CBT에서 CBT 형태로 문제와 풀이, 정답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22년까지 기출은 CBT를 통해서 풀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www.comcbt.com
2022년 3회부터는 CBT 시험으로 개정되어 문제가 외부로 공개되지 않으므로, 카페 등 관련자 모임의 복원기출을 확인하여 풀 수 있습니다.
📌 10. 정보처리기사 공부 자료 및 추천 교재
자료 유형 | 추천 자료 |
교재 | 시나공 - https://www.gilbut.co.kr/book/view?bookcode=BN004258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
인강 | 흥달쌤 유튜브 기사 퍼스트 |
📌 결론 및 최종 합격 TIP
- 기출 문제 중심으로 공부하기
- SQL 및 코딩 연습 철저히 하기
- 최신 출제 경향 반영한 공부 전략 세우기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M 관련 자격증 총정리 – 공급망 관리 전문가를 위한 가이드 (1) | 2025.02.24 |
---|---|
SAP Certification 자격증 유효기간 개정 1년 (0) | 2025.02.17 |
AWS 자격증 시험 및 취득 후기 - AWS Certified Data Engineer Associate (26) | 2024.10.09 |
SAP MM 모듈 자격증 후기(SAP Certification ,C_TS452_2021) (0) | 202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