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M(Bill of Materials) 이란 무엇인가? 정의 및 SAP 테이블, T-code

etc-image-0
bing image creator - bom

📌1. BOM(Bill of Materials) 이란 무엇인가?

 
BOM(Bill of Materials, 자재명세서)은 제조업 및 생산 관리에서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과 그 관계를 정의하는 중요한 데이터이며, 제품을 구성하는 원자재, 반제품, 부품, 완제품 간의 관계를 계층 구조로 표현한 리스트입니다.
 
SAP에서 BOM은 생산, 조달, 원가 계산, 유지보수 등 다양한 프로세스에 활용됩니다.
 

BOM의 주요 역할

제품 구조 정의: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 및 자재 리스트 관리
생산 계획 활용: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및 제조 주문에 활용
원가 계산: 제품의 예상 원가 계산 (CO, Costing)
자재 조달 및 창고 관리: 필요한 자재를 적절한 시점에 조달
품질 관리(QM) 및 변경 관리(ECM): 품질 검사 및 변경 이력 추적


📌 2. SAP BOM의 주요 활용 방법

✅ 2.1 생산 계획 및 자재 소요량 계획(MRP)에서 활용

BOM은 생산 계획 및 자재 소요량 계획(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MRP)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활용 예시

  1. 생산 오더가 생성되면, BOM을 기반으로 필요한 원자재 및 반제품 등이 자동으로 계산됨.
  2. MRP가 실행되면, 재고 확인 후 부족한 자재를 조달 또는 생산 계획을 세움.
  3. SAP MRP에서 BOM을 기반으로 생산 오더를 생성하고, 필요한 자재를 자동으로 예약 가능.

📌 관련 SAP T-Code

  • MD01: MRP 실행
  • MD04: 자재별 재고 및 소요량 조회
  • CS11, CS12: BOM 조회(Single , Multi Levle)

✅ 2.2 BOM을 활용한 원가 계산 (Costing)

SAP BOM은 제품 원가 계산(Costing)에도 활용됩니다.
 
💡 활용 예시

  • BOM에 등록된 자재의 단가와 소요량을 계산하여 제품의 예상 원가를 도출
  • 원가 계산을 통해 적절한 가격 설정 및 제조 비용 절감 가능
  • 원가 요소를 분석하여 비용이 높은 부품을 대체할 수 있는 전략 수립

📌 관련 SAP T-Code

  • CK11N: 표준 원가 계산
  • CK13N: 원가 계산 결과 조회

✅ 2.3 자재 조달(Procurement) 및 재고 관리에서 활용

BOM은 자재 조달 및 창고 관리(Material Management, MM 모듈)에서도 필수적입니다.
💡 활용 예시

  • BOM을 기반으로 구매 오더(Purchase Order, PO) 생성
  • 창고에 재고가 충분한지 확인 후 부족한 경우 구매 요청(PR) 발생
  • 다단계 BOM(Multi-Level BOM)을 활용하여 조립 또는 생산에 필요한 자재를 체계적으로 조달

📌 관련 SAP T-Code

  • ME21N: 구매 오더 생성
  • MIGO: 자재 입고 처리
  • MB52: 자재 재고 조회

✅ 2.4 품질 관리(QM) 및 변경 관리(ECM)에서 활용

BOM은 품질 관리 및 변경 관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활용 예시

  • 품질 불량이 발생하면, BOM을 통해 해당 부품의 공급처 및 변경 이력 추적
  • 신제품 개발 시, 기존 BOM을 활용하여 새로운 BOM을 빠르게 생성 가능
  • 변경 관리(Engineering Change Management, ECM)를 통해 BOM 변경 이력 관리 가능

📌 관련 SAP T-Code

  • QM01: 품질 문제 보고
  • CC01: 변경 요청 생성
  • CS14: BOM 비교

✅ 2.5 유지보수(Plant Maintenance, PM)에서 활용

BOM은 설비 및 기계 유지보수(Plant Maintenance, PM)에도 사용됩니다.
💡 활용 예시

  • 특정 기계나 설비의 예비 부품(Spare Parts) BOM을 관리하여 유지보수 용이
  • 설비 고장 발생 시, 해당 BOM을 참고하여 필요한 부품을 신속하게 교체
  • BOM을 기반으로 유지보수 비용을 분석하고, 예방 유지보수 계획 수립 가능

📌 관련 SAP T-Code

  • IB01: 설비 BOM 생성
  • IP19: 유지보수 계획 조회

📌 3. SAP BOM 주요 T-Code 상세 설명

📌 3.1 BOM 생성, 수정 및 조회

SAP에서 BOM을 생성, 수정 및 조회하는 기본적인 T-Code는 다음과 같습니다.

✅ BOM 생성 (CS01)

  • 새로운 BOM을 생성할 때 사용
  • BOM Usage (생산,  설비 등) 선택 가능

✅ BOM 수정 (CS02)

  • 기존 BOM을 변경할 때 사용
  • 특정 구성품(부품) 추가/삭제, 수량 변경 가능

✅ BOM 조회 (CS03)

  • 특정 BOM의 구조를 확인할 때 사용
  • BOM에 포함된 모든 부품을 계층 구조로 표시

📌 예제: BOM 조회 (CS03)

  1. T-Code CS03 실행
  2. 자재 번호(MATNR) 입력
  3. 플랜트(WERKS) 입력
  4. BOM Usage 및 Alternative BOM(대체 BOM 이 있는 경우)
  5. 실행하면 해당 BOM의 전체 구조 확인 가능

📌 2.2 BOM 멀티레벨 관리

BOM은 단일 레벨(Single-Level)과 다중 레벨(Multi-Level)로 나뉘며, 각각을 조회하는 T-Code가 다릅니다.

✅ 단일 레벨 BOM 조회 (CS11)

  • 특정 BOM의 직접적인 구성 요소만 조회

✅ 다중 레벨 BOM 조회 (CS12)

  • BOM을 트리 구조(Tree Structure)로 표시하여 하위 BOM까지 포함한 전체 구조를 조회

✅ 특정 자재가 포함된 BOM 조회 (CS15)

  • 특정 자재가 어떤 BOM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 가능

📌 예제: 특정 자재가 사용된 BOM 조회 (CS15)

  1. T-Code CS15 실행
  2. 자재 번호(MATNR) 입력
  3. 실행하면 해당 자재가 포함된 BOM 리스트 조회 가능

📌 2.3 BOM 분석 및 비교

SAP에서는 BOM 데이터를 분석하고 비교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 BOM 비교 (CS14)

  • 두 개의 BOM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확인할 때 사용 (One Level)
  • 예: BOM 버전 간 차이 비교

✅ BOM 일괄 변경 (CS20)

  • 여러 BOM 항목을 한 번에 수정하는 기능
  • 예: 특정 부품을 전체 BOM에서 변경

📌 예제: BOM 비교 (CS14)

  1. T-Code CS14 실행
  2. 비교할 BOM 번호 2개 입력
  3. 실행하면 BOM 간의 차이점을 표시

📌 2.4 BOM과 라우팅 연결

BOM은 생산 공정에서 라우팅(Routing)과 연결되며, 이를 관리하는 T-Code가 있습니다.

✅ BOM과 라우팅 연결 (PLMZ 테이블)

  • BOM과 라우팅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확인하는 테이블

✅ 라우팅 생성 (CA01)

  • 새로운 라우팅을 생성하여 BOM과 연결

✅ 라우팅 조회 (CA03)

  • 특정 BOM과 연결된 라우팅을 확인

📌 예제: 특정 BOM에 연결된 라우팅 확인 (CA03)

  1. T-Code CA03 실행
  2. 자재 번호(MATNR) , Plant 입력
  3. 실행하면 BOM과 연결된 공정 흐름 확인 가능

📌 4. SAP BOM 주요 테이블(Table)

 

1. 기본 BOM 테이블

테이블설명
STKOBOM 헤더 데이터 (BOM Header)
STPOBOM 품목 데이터 (BOM Item)
STASBOM 품목 선택 데이터 (BOM Item Selection)
STZUBOM 영구 데이터 (Permanent BOM data)

2. BOM 관련 연결 테이블

테이블설명
MASTBOM과 자재 마스터 연결 (Material to BOM Link)
DOSTBOM 과 Doucment 연결 (Document to BOM Link)

📌 5. 결론

SAP BOM은 생산, 조달, 원가 계산, 유지보수, 품질 관리 등 다양한 프로세스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됩니다.
생산 계획: BOM을 기반으로 MRP 실행하여 자재 소요량 자동 계산
원가 관리: BOM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품 원가 분석 및 절감 전략 수립
자재 조달: BOM을 통해 필요한 부품을 파악하고 적절한 시점에 조달
품질 관리: BOM 변경 이력을 추적하여 품질 문제 해결
유지보수: 설비 유지보수를 위한 예비 부품 관리
BOM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원가를 절감하며, 유지보수 및 품질 관리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