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 이란 무엇인가?

SCM은 Supply Chain Management로 직역하자면 공급망 관리, 공급 사슬 관리를 뜻한다.
Supply Chain Management란 공급,조달 프로세스부터 제조, 생산, 유통을 거쳐 최종 소비,거래처까지 이르는 모든 원자재, 서비스의 흐름을 통합하고 연계한다.
즉, 공급업체/제조업체/유통/소매업체 등 모든 단계에서 데이터와 리소스를 최적화하여 비용의 절감과 납기, 효율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SCM 발전과 역사, 기법
1960-70년대 제품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비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전사적 자원관리 ERP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글로벌화에 따라 기업 간의 경쟁은 심화되며, 기업은 품질과 서비스 개선, 공급망 내 공급/거래처가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공급망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SCM의 경우에도 산업 혁명 이후 대량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관심도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1980년대 미국에서 SCM 개념이 공식적으로 등장하게 되었으며 ERP의 발전/심화로 공급망 전체 정보를 통합한다.
2000-2010년대는 글로벌 공급망 확장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주도하며 E-Commerce 의 발달로 물류 네트워크가 중요해졌다. 또한 RFID, GPS, IoT 등의 기술 등장으로 실시간 공급망 추적이 가능해졌다.
2020년대 이후로는 AI와 ESG 기반한 스마트 SCM이 주도한다. AI와 블록체인, ESG 기반의 차세대 공급망 개념이 나왔으며 코로나 펜데믹에 따른 공급망 위기에 SCM 재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AI와 머신러닝 등을 활용한 수요 예측 분석으로 수요에 대응하고 물류 최적화에 기여한다.
개발된 기법들로는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 :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 공급망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전략으로 공급망에서 불필요한 단계를 제거하고 수요 주도형의 운영을 통한 전체적인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잡음. 그러기 위해 수요 주도 공급망, 공급업체와 소매업체 간 협업, 재고 및 물류 최적화, 카테고리 관리 등을 한다.
주요 핵심전략으로는 효율적인 매장 내 진열(고객 선호도 기반의 제품 배치, SKU 최적화), 효율적인 보충(POS 데이터 기반한 자동 재주문), 효율적인 프로모션 전략(불필요한 가격할인 남발을 방지하고 효과적인 판촉 기획), 효율적인 신제품 출시(신제품 개발 단계부터 소비자의 피드백 수용)
QR(Quick Response) : 패션 및 리테일, 유통업 등에서 빠른 시장 대응을 위해 개발된 공급망 관리 전략입니다. ECR과 유사하지만 단기 트렌드 변화에 적응을 강조합니다. 소비자 수요 변화에 신속한 대응과 재고 최소화, 리드 타임을 단축하는 것이 핵심 목표입니다.
CAO(Computer Assisted Ordering, 컴퓨터 지원 주문) : 자동화된 주문시스템으로 효율적인 재고관리와 주문 프로세스 최적화를 목표로 하며, POS 데이터, 수요 예측 재고수준 분석을 기반으로 최적의 주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
SCRM(Supply Chain Risk Management, 공급망 리스크 관리) : 공급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협 요소를 사전에 식별하고 대응전략을 수립하여 기업의 운영 안정성을 유지한다. 코로나, 지정학적 갈등,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하여 공급망 리스크 관리에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최근에 들어서는 AI와 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
✅ AI & 머신러닝 – 수요 예측, 공급 최적화, 자동화된 의사결정
✅ IoT(사물인터넷) – 실시간 재고 및 물류 트래킹
✅ 블록체인 – 투명한 거래 및 원산지 추적
SCM 도입에 따른 효과

1. 재고 감소
Supply Chain 계획 및 실행에 따라 재고 측면에서도 적시에 제공 및 불필요한 재고를 줄일 수 있다.
각 공급망 연결을 유기적으로 관리하며 필요한 비축 및 안전재고에 대한 수량을 적절히 관리 가능해진다.
2. 불필요한 작업 제거 및 업무 처리 시간 감소
공급망 내 모든 관련자들이 각 기능, 자원 , 필요한 정보 등을 사전 또는 적시에 확인할 수 있으며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전달과 관련된 불필요한 페이퍼 작업 등이 제거되며 업무 효율을 증대할 수 있게된다.
3. 물류비용 절감
SCM 도입을 통해 물류 경로 최적화 및 운송 스케쥴 관리 등을 통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 고객 서비스 향상
SCM을 통해 주문 처리 편의성 및 배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고객의 요구를 신속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품질 이슈를 빠르게 인식하고 대응이 가능하다.
5. 협업 강화
SCM 을 통해 기업 내부의 각 부서(판매, 구매, 생산)와의 협업뿐만 아니라, 공급업체/유통업체, 고객 등과의 협업을 강화.
정보 공유 및 실시간 협업을 통해 공급망 전반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한다.
SCM 어떻게 도입할 것인가? , SCM 프로세스 분석
SCM 도입 전 각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별 현황과 취약점 등을 분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정리하며 부족한 점을 개선하여 기업의 최대 목표인 이익,이윤 창출에 기여한다.
SCM 개선 예시
주문 프로세스 개선
주문 시스템의 IT 시스템화, 실시간 주문 확정시스템을 통해 정확한 주문 정보와 신속성을 획득하고 대고객 신뢰도를 향상한다. 또한 주문 등록 및 확정 시간 단축을 통한 전체적인 주문 관련 리드타임 단축을 가져옴을 통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예측 가능하고 안정적인 주문 및 출고 업무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주문 접수 시 실시간 재고 확인과 거래처의 여신 체크 등의 기능을 구현하며 영업 담당자 및 거래처별 주문에 대한 분석 기능을 도입하여 SCM KPI 평가지표를 관리한다.
판매계획 프로세스
제품(SKU)에 대한 조직별 판매계획(주/월/년)을 수립하고 계획 대비 실적을 관리, 분석한다.
판매 수요 예측에 필요한 데이터(판매 실적, 시장의 상황, 재고, 거래처 발주 계획) 등을 활용하여 판매계획을 수립한다.
정확한 정보 및 필요 정보의 실시간 고유를 통한 판매계획 수립 단축 및 다양한 의사결정에 활용하며 주문의 집중 및 분산을 유도하고 생산계획 단계에서 정확도 향상을 통한 SCM 전반의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다.
생산계획 프로세스
판매계획과 현 제품 재고의 수준 및 기 생산 실적을 감안한 생산 계획 및 소요 리소스 등을 산출한다.
주문 유형에 맞는 적절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주문 기준 생산계획(Order based Planing) 의 도입이 필요하다.
계획 생산 제품(MTS)에 대한 마스터 기준 생산계획 수립 체계를 도입한다.
생산계획 수립의 자동화와 계획 시나리오 별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시스템의 도입과 생산계획 정보을 공유하는 환경,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생산계획 정확도 향상 및 정보 공유를 통해 원/부자재 재고 절감 및 계획 수립자의 단순 반복 업무를 감소하고 의사 결정에 더욱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업무 효율을 올린다.
생산실적 프로세스
생산 작업 지시, 작업 결과(작업 시간 및 생산량 등), 완제품의 수불 및 생산 통계 자료를 관리하는 프로세스
제품의 인수 및 간소화와 표준화를 통한 절차 개선과 생산 Routing 정보를 표준화한다.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수작업을 감소하고 생산 실적 집계를 시스템으로 자동화 및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자재 구매, 조달 프로세스
원/부자재의 조달을 위한 업체 소싱 및 발주부터 납품까지 정의된다.
자동화된 발주 처리 및 재고 정보 공유를 통한 관계사와 주요 거래처 간의 정보 공유, 공급업체 평가 관리 등을 위한 SRM 시스템 도입이 필요로 하다. 생산계획과 연계하여 수립 및 변경 내역 발 생시 구매 시뮬레이션을 통해 신속한 구매/조달계획을 수립하며 관련 부서 담당자와의 공유를 통해 업무 생산성을 향상하고 리스크 관리를 한다.
또한 정확한 재고 파악 및 분석이 가능하여, 창고 내 잉여/과잉 재고를 줄일 수 있으며, 계획 대비 구매 관련 실적을 표시하여 업무의 신속,정확성을 향상한다.
재고 관리 프로세스
자재의 입/출고 , 재고를 관리하는 프로세스
원, 부자재의 수불을 표준화, 관리하며 실제 재고와 전산재고 간의 일치 및 원부자재 ABC 분류 등을 통한 관리 기준 표준화가 중요하다.
물류계획 프로세스
생산 / 판매의 업무를 조정하고 생산과 판매계획을 기반으로 하여 물류 계획을 수립한다.
물류비, 재고, 품절에 대한 기준 및 실시간 재고 및 주문을 관리하며, 최적의 배송 루트를 선정하여 배송 시간을 단축한다.
SCM 선진 구축 사례

1. Amazon – AI 기반 예측 및 로봇 자동화 물류
📌 주요 개선점
- 예측 배송(anticipatory shipping): AI 기반으로 고객이 주문하기 전에 특정 지역 창고로 제품을 선배송
- 로봇 자동화 물류센터 운영: Kiva 로봇을 도입해 물류 창고 내 픽업 및 분류 작업 자동화
- Prime 서비스 최적화: 당일 및 익일 배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라스트마일 배송 네트워크 구축
✅ 효과
- 배송 시간 단축(2일 → 하루 이내)
- 물류 비용 절감 및 효율적인 창고 운영
- 반품 프로세스 간소화로 고객 만족도 향상
2. Walmart – IoT & 블록체인 기반 실시간 공급망 관리
📌 주요 개선점
- IoT 센서 활용: 트럭 및 창고 내 실시간 온도/위치 추적 시스템 구축
- 블록체인 도입: 공급망 데이터 위변조 방지 및 식품 이력 추적 강화
- 크로스도킹(Cross-Docking) 시스템: 공급업체에서 도착한 상품을 바로 소매점으로 발송하여 재고 비용 절감
✅ 효과
- 식품 안전성 강화(식중독 예방, 리콜 시간 단축)
- 재고 회전율 증가 → 보관 비용 절감
- 공급업체와의 협업 강화 및 물류 투명성 향상
3. Zara – 초고속 패스트패션 공급망 구축
📌 주요 개선점
- 수직 통합 공급망 운영: 원단 제조, 디자인, 생산, 물류까지 직접 운영
- 빠른 생산 & 소량 다품종 전략: 2주 이내 신상품 출시 → 실시간 고객 반응 반영
- 유럽 내 공장 집중 운영: 아시아 생산이 아닌 근거리 생산 방식(스페인, 포르투갈 등)으로 빠른 공급망 유지
✅ 효과
- 신제품 개발 및 출시 속도 3~4배 향상
- 과잉 재고 최소화(트렌드 변화에 빠르게 대응)
- 글로벌 매장 간 실시간 데이터 공유로 수요 기반 재고 운영
4. Tesla – 자사 공장 중심의 수직 통합 공급망 구축
📌 주요 개선점
- 공급망 내재화(Vertical Integration): 배터리, 반도체 등 주요 부품 자체 생산
- 기가팩토리(Gigafactory) 운영: 대규모 공장으로 물류 비용 절감 및 생산 효율 극대화
- OTA(Over-The-Air) 업데이트: 원격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리콜 비용 절감 및 유지보수 최적화
✅ 효과
- 반도체 공급난 속에서도 생산 차질 최소화
- 차량 생산 원가 절감(배터리 자체 생산)
- 실시간 데이터 기반 생산 및 품질 관리 가능
5. Nike –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D2C(Direct-to-Consumer) 강화
📌 주요 개선점
-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도입: 가상 환경에서 공급망 시뮬레이션 운영
- D2C 채널 확대: 오프라인 매장, 앱, 온라인 스토어 등 직접 판매 모델 강화
- RFID 기반 실시간 재고 관리: 제품의 위치와 수요 예측을 최적화
✅ 효과
- 공급망 시뮬레이션으로 리스크 최소화(예: 팬데믹 상황 대응)
- 중간 유통 단계 축소로 마진 증가
- 실시간 재고 파악으로 고객 맞춤형 배송 및 판매 전략 가능
'업무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M] 공급망 리스크 관리 정의 및 IT 솔루션 분석 (1) | 2025.03.24 |
---|---|
[기업분석] 엠로(Emro): AI 기반 공급망관리, SRM 혁신 기업 (0) | 2025.03.23 |
[SCM] 수요예측 및 DP (Demand Planning) (0) | 2025.03.09 |
📖 SCM MP(공급계획) 상세 가이드 (0) | 2025.03.07 |
SCM - 물류 BOD 용어 정의 및 개념, BOD 란 무엇인가?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