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 PR(Purchase Requisition) 과 PO(Purchase Order) 의 차이 개념

PR(Purchase Requisition) 과 PO(Purchase Order) 의 차이 개념

SAP에서 PR과 PO는 구매 프로세스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1. PR (Purchase Requisition, 구매 요청서)

정의

  • 내부적으로, 자재, 서비스의 구매가 필요한 현업 부서에서 생성하는 요청 문서
  • 실제 구매 계약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내부적으로 승인 프로세스(릴리즈 단계,  IMG 세팅에 따라 릴리즈가 없어도 가능함)를 거쳐야 함

특징

  • 특정 부서나 직원이 필요한 자재 또는 서비스를 요청할 때 사용
  • 예산 확인(서비스, 공사 용역 - WBS 예산) 및 승인 절차(릴리즈)를 거쳐 PO로 변환될 수 있음
  • SAP 모듈에서는 MM(Materials Management) 모듈에서 다뤄짐

SAP T-code (티코드, 트랜잭션 코드)

  • ME51N → 구매 요청 생성
  • ME52N → 구매 요청 변경
  • ME53N → 구매 요청 조회
  • ME54N → 구매 요청 릴리즈 

2. PO (Purchase Order, 구매 오더/발주서)

정의

  • PR을 기반으로 실제 공급업체에 발주하는 공식적인 주문 문서 (PR 기반으로 PO 생성)
  • 구매 요청(PR)이 승인된 후, 구매팀이 공급업체와 계약을 체결하고 PO를 발행

특징

  • 법적 구속력이 있으며, 계약 및 납품 조건(납품요청일, 수량 , 금액 등) 을 포함
  • 재고 구매뿐만 아니라 서비스 구매에도 사용 가능
  • PR 없이 직접 생성할 수도 있음
  • 별도로 단가계약(구매정보레코드) 체결 후 PR 없이 PO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
  • SAP 모듈에서는 MM(Materials Management) 및 SRM(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모듈에서 다뤄짐
  • SRM에서는 생성된 PO 발주 정보를 공급업체(Vendor)에서 확인하고, 수주 및 납품서 작성 등의 납품처리를 진행

SAP T-code (거래 코드)

  • ME21N → 구매 오더 생성
  • ME22N → 구매 오더 변경
  • ME23N → 구매 오더 조회

PR과 PO의 주요 차이점

구분 PR (구매 요청서) PO (구매 오더)
목적 내부 요청 외부 발주 (공급업체 계약)
상태 구매 승인 전 구매 확정
법적 효력 없음 있음 (계약 체결)
생성 주체 요청 부서 구매 부서
대표 T-code ME51N, ME52N, ME53N ME21N, ME22N, ME23N

정리

  • PR은 내부에서 "이런 걸 구매해야 합니다!"라고 요청하는 문서
  • PO는 실제로 "이제 구매할거에요, 공급해 주세요!"라고 공급업체에 보내는 문서

SAP에서 구매 프로세스를 다룰 때, PR과 PO의 흐름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