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us(티맥스) vs Tomcat 비교, 네이버와 같은 서비스 개발회사에서는 Tomcat을 사용하는 이유

대형 IT 기업들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를 선택할 때 다양한 요소를 고려합니다. 특히 네이버, 카카오, 쿠팡과 같은 국내 IT 기업들은 대용량 트래픽을 처리하면서도 상용 WAS(Jeus) 대신 오픈 소스 기반의 Tomcat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Jeus와 Tomcat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네이버 같은 서비스 기업들이 Tomcat을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또한 SM/SI 회사에서는 주로 Jeus 를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 이번 글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 WAS(Web Application Server)란?

1) WAS 개념
WAS(Web Application Server,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관리하는 서버입니다. 주로 동적인 웹 서비스(JSP, Servlet 등)를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웹 서버(Apache, Nginx)와 함께 사용됩니다.
2) WAS vs 웹 서버
구분 | 웹 서버 (Web Server) | WAS (Web Application Server) |
주요 역할 | 정적인 콘텐츠(HTML, CSS, JS) 제공 | 동적인 웹 애플리케이션(JSP, Servlet 등) 실행 |
예시 | Apache, Nginx | Tomcat, Jeus, WebLogic, WebSphere |
사용 목적 | 빠른 정적 파일 제공 | 비즈니스 로직 실행 및 DB 연동 |
WAS는 웹 서버와 함께 동작하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동적인 응답을 제공합니다.
🔹 2. Jeus(티맥스)와 Tomcat 개요 및 비교
WAS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티맥스소프트의 Jeus와 Apache의 Tomcat이 많이 사용됩니다.
1) Jeus(티맥스) vs Tomcat 개요
항목 | Jeus (티맥스소프트) | Tomcat (Apache Foundation) |
개발사 | 티맥스소프트(TmaxSoft) |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Apache Software Foundation) |
라이선스 | 유료 | 오픈 소스(무료) |
Java EE 지원 | Java EE 풀 스펙 지원 (EJB, JPA, JMS 등) | Servlet, JSP 일부 지원 |
주요 용도 | 대기업 및 공공기관의 엔터프라이즈급 서비스 운영 | 중소규모 웹 애플리케이션 및 개발 환경 |
성능 | 대규모 트래픽 처리 가능 | 경량화된 구조로 성능이 우수 |
관리 도구 | Web 기반 관리 콘솔 제공 | 별도 관리 도구 없음 |
기업용 지원 | 기술 지원 및 유지보수 가능 | 커뮤니티 기반 지원 |
2) Jeus vs Tomcat의 주요 차이점
(1) 라이선스 및 비용
- Jeus: 기업용 상용 WAS로 유료이며, 티맥스소프트에서 유지보수 및 기술 지원 제공
- Tomcat: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무료 사용 가능
(2) Java EE 지원 여부
- Jeus: Java EE 풀 스펙 지원 (EJB, JPA, JMS, JTA 등 포함)
- Tomcat: Java EE 일부 기능만 지원 (Servlet, JSP만 가능)
(3) 성능 및 확장성
- Jeus: 대규모 트래픽 처리에 강하며, 클러스터링 및 세션 복제 기능 제공
- Tomcat: 경량화된 구조로 빠르게 실행되지만, 일부 대형 기능 부족
(4) 관리 도구 및 편의성
- Jeus: 웹 기반 관리 콘솔 제공
- Tomcat: 기본적으로 GUI 관리 도구가 없으며, 설정이 수동적
(5) 기업 환경 적용 사례
- Jeus: 공공기관, 금융권, 대기업의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
- Tomcat: 스타트업, 중소기업, 개발 및 테스트 환경에서 많이 사용
🔹 3. 네이버 같은 IT 기업들이 Tomcat을 선호하는 이유

1) 비용 절감 (라이선스 비용 문제)
- Tomcat은 무료(오픈 소스)이므로 수천 대의 서버를 운영해야 하는 네이버 같은 대형 IT 기업에게 유리
- 반면, Jeus 같은 상용 WAS는 높은 라이선스 및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
2) Java EE의 불필요한 기능 제거 (경량화)
- 네이버, 카카오 같은 서비스는 EJB, JMS 같은 Java EE 기능을 거의 사용하지 않음
- Tomcat은 Servlet, JSP 중심의 경량화된 WAS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기능이 없어 빠르게 실행 가능
3) 대규모 트래픽 분산 처리 (Scale-Out 방식)
- 네이버는 Scale-Up(고성능 서버 1대) 방식이 아닌, Scale-Out(서버 여러 대 분산) 방식을 선호
- Tomcat은 가볍기 때문에 서버 여러 대로 분산하여 로드 밸런싱이 용이
4) 컨테이너(Kubernetes, Docker)와의 궁합
- 네이버는 MSA(Microservices Architecture) 및 컨테이너 기반 운영을 하고 있음
- Tomcat은 경량화되어 컨테이너(Kubernetes, Docker) 환경에서 운영하기 쉬움
- 반면, Jeus는 무거워서 컨테이너 환경에서 운영하기 어려움
5) 네이버의 자체 기술력 (WAS 최적화 가능)
- 네이버는 자체적으로 WAS 튜닝 및 최적화할 수 있는 엔지니어가 많음
- Tomcat을 기반으로 Spring Boot, Netty, Jetty 등과 결합하여 최적화된 구조 구축 가능
🔹 4. 결론: 왜 네이버는 Tomcat을 사용하는가?
✅ 비용 절감 → Jeus는 라이선스 비용이 비쌈
✅ Java EE 기능이 필요 없음 → Tomcat으로 충분
✅ 경량화된 WAS → 빠르고 가벼운 서버 운영 가능
✅ Scale-Out 방식 → 트래픽을 분산하여 처리
✅ 컨테이너(Kubernetes, Docker) 지원 → MSA 아키텍처와 잘 맞음
✅ 내부 엔지니어링 역량 → 직접 WAS 최적화 가능
📌 결론: 대형 IT 기업들은 Jeus 같은 상용 WAS보다, 비용 효율적이고 경량화된 Tomcat을 활용하여 대규모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
반대로, SM/SI 회사들은 왜 Jeus(티맥스)를 더 사용할까??
🔹 SM/SI 회사들이 Jeus(티맥스)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
SI(System Integration) 및 SM(System Management) 회사들은 공공기관, 금융권, 대기업 등의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기업들이 상용 WAS인 Jeus(티맥스)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SM/SI 회사란?
1) SI (System Integration)
- 기업이나 기관의 IT 시스템을 구축하는 역할
- 예: 공공기관의 전산 시스템, 금융권 전자결제 시스템 등
2) SM (System Management)
- 구축된 IT 시스템을 운영 및 유지보수하는 역할
- 예: 정부기관의 서버 관리, 은행 시스템 유지보수 등
SI와 SM 회사들은 주로 정부, 금융권, 대기업의 IT 프로젝트를 담당하며, 대규모 IT 환경에서 안정적인 운영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2. SM/SI 회사들이 Jeus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

1) 공공기관 및 금융권의 요구사항 (정부 조달 WAS)
- 공공기관과 금융권에서는 *국산 SW 사용을 장려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음
- 특히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SI 프로젝트에서는 국산 소프트웨어(WAS 포함)를 우선적으로 채택하는 경향이 있음
- Jeus는 국내 기업 티맥스소프트에서 개발한 국산 WAS로, 공공기관 및 금융권 프로젝트에서 채택률이 높음
📌 예시: 국가 전산망, 전자정부 프로젝트, 공공 금융 시스템 등에서는 Jeus가 기본 WAS로 선정됨
2) Java EE 풀 스펙 지원 (기업용 시스템 최적화)
- Jeus는 Java EE 풀 스펙 지원(EJB, JPA, JMS, JTA 등 포함)
- 반면, Tomcat은 Servlet, JSP 정도만 지원
- 금융, 공공, 대기업 IT 시스템에서는 Java EE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음
📌 예시: 대규모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금융 시스템에서는 EJB, JTA(JTA 기반 트랜잭션 관리)가 필수적임
3) 기업용 기술 지원 및 유지보수 가능
- Jeus는 티맥스소프트에서 공식 기술 지원을 제공
- 공공 및 금융권 프로젝트에서는 안정적인 기술 지원과 유지보수가 중요한 요소
- Tomcat은 오픈 소스이므로 기업 차원의 공식적인 기술 지원을 받기 어려움
📌 예시: 은행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 시, 티맥스소프트의 기술 지원을 받아 신속한 조치 가능
4) 클러스터링 및 고가용성(HA) 지원
- Jeus는 클러스터링(Clustering) 및 세션 복제(Session Replication)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
- 대규모 시스템에서 고가용성을 요구하는 경우, Jeus가 더 적합
- Tomcat도 클러스터링이 가능하지만,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고 추가 설정이 필요
📌 예시: 증권 거래 시스템, 인터넷 뱅킹과 같은 대규모 서비스에서는 장애 발생 시 자동 복구 기능이 필수적
5) 기존 SI 프로젝트에서 Jeus 사용이 표준화됨
- 공공기관, 금융권 SI 프로젝트에서는 이미 Jeus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
- 새로운 프로젝트에서도 기존 시스템과의 연동 및 유지보수 편의성을 위해 Jeus를 계속 사용
- 또한, SI 프로젝트는 고객사의 요구에 맞춰야 하므로 기존에 사용하던 WAS를 변경하기 어려움
📌 예시: A 은행이 Jeus 기반 시스템을 운영 중이라면, 이후 추가 개발에서도 Jeus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
6) 기업 보안 및 감사 요구 대응
- 금융권, 공공기관의 시스템은 강력한 보안 및 규제 준수를 요구
- Jeus는 국내 기업 환경에 맞춘 보안 패치 및 기능을 제공
- Tomcat은 오픈 소스이므로 보안 취약점 발생 시 기업 차원에서 직접 해결해야 함
📌 예시: 금융권 시스템 감사에서 보안 로그 및 시스템 접근 통제 기능을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경우 Jeus가 유리
3. Jeus vs Tomcat, SM/SI 회사 선택 기준
비교 항목 | Jeus (SM/SI) | Tomcat (대형 IT 기업) |
비용 | 유료 (라이선스 필요) | 무료 (오픈 소스) |
Java EE 지원 | Java EE 풀 스펙 (EJB, JPA, JMS, JTA 등) | Servlet, JSP만 지원 |
기술 지원 | 티맥스소프트 공식 지원 | 커뮤니티 기반 (기업 차원 지원 없음) |
클러스터링 및 HA | 기본 제공 | 별도 설정 필요 |
보안 및 규제 준수 | 금융/공공기관 요구 대응 | 추가 보안 설정 필요 |
기존 프로젝트 연동 | 공공기관 및 금융권에서 표준화됨 | 네이버, 카카오 등 IT 기업에서 많이 사용 |
4. 결론: SM/SI 회사들은 왜 Jeus를 사용할까?
✅ 공공기관, 금융권에서 국산 WAS 선호 → 정부 조달 사업에서 Jeus 채택률 높음
✅ Java EE 풀 스펙 지원 → 기업 시스템에서 필요한 기능(EJB, JTA 등) 활용 가능
✅ 기업용 기술 지원 및 유지보수 → 티맥스소프트에서 공식 지원 제공
✅ 고가용성 및 장애 대응 → 클러스터링 및 세션 복제 기본 지원
✅ 보안 및 규제 준수 → 금융권 및 공공기관의 감사 및 보안 요구 대응
✅ 기존 프로젝트와의 연동 편리 → 공공 및 금융권 시스템에서 Jeus가 표준 WAS로 사용됨
📌 즉, SM/SI 회사들은 기업 및 기관의 요구사항(안정성, 보안, 기술 지원 등)에 맞추기 위해 Jeus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완벽 정리: 개념, 종류, 장점, 기술, 보안, 활용 사례 (1) | 2025.03.18 |
---|---|
오라클에서 특수문자(&, ', ", %, @ 등)를 INSERT할 때 주의할 점과 처리 방법 (2) | 2025.03.17 |
세션 타임아웃 설정(Session timeout) - WAS, web.xml, Node.js (0) | 2025.02.26 |
MS-SQL 서버 접속 에러 조치 - a network-related or instance-specific error occurred (0) | 2025.02.25 |
오라클 PLAN_TABLE이란?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