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mvc-1/dashboard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 인프런 | 강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한 모든 웹 기술을 기초부터 이해하고, 완성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MVC의 핵심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더 깊이있는 백엔드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www.inflearn.com 스프링 MVC 1편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강의 정리 1.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스프링 부트 스타터 사이트로 생성 (Pro Edu 버전을 사용하고 있어 인텔리제이에서 바로 생성) Packaging: War - Jar를 통해서 많이 사용하나 강의에선 JSP 를 사용하기 위해서 WAR로..
도커 이미지 생성순서 1. Dockerfile 작성 : Dockerfile 이란 Docker Image를 만들기 위한 설정 파일 : 컨테이너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 지에 대한 설정들을 정의해줌. 2. 도커 클라이언트 : 도커 파일에 입력된 것들이 도커 클라이언트에 전달 3. 도커 서버 : 도커 클라이언트에 전달된 모든 중요한 작업을 하는 곳 4. 이미지 생성 Dockerfile 만들기 도커 파일 만드는 순서(도커 이미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 1. 베이스 이미지 명시 (파일 스냅샷에 해당) 2. 추가적으로 필요한 파일을 다운 받기 위한 몇가지 명령어를 명시(파일 스냅샷에 해당) 3. 컨테이너 시작 시 실행 될 명령어를 명시 * 베이스 이미지란? - 도커 이미지는 여러 개의 레이어로 되어 있음. 그중..
https://kora1492.tistory.com/88 [DB] Oracle DB에서 MariaDB 로 데이터 이관하기 Oracle -> Maria DB 로 전환 1) 비용( 비용절감, 비상 경영 등의 이유로 가장 큰 이유가 비용) SaaS 로 기존 솔루션을 전환하려고 할 때 검토 사항 중 오픈소스를 통한 비용 절감 아래의 표(AWS RDS 기준)를 kora1492.tistory.com DB 를 Oracle DB 에서 MariaDB로 이관하고 나서, SQL Mapper(Mabatis) 를 쓰고 있는 쪽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구문을 MariaDB 문법에 맞춰서 적용하기. Syntax Error 메시지를 보고 문법에 맞추어 변경이 필요로 함 * 실행계획 확인(Explain) 시, 이전 글에서 INDEX 등을..
Oracle -> Maria DB 로 전환 1) 비용( 비용절감, 비상 경영 등의 이유로 가장 큰 이유가 비용) SaaS 로 기존 솔루션을 전환하려고 할 때 검토 사항 중 오픈소스를 통한 비용 절감 아래의 표(AWS RDS 기준)를 기준으로 약 2배정도의 시간 당 요금 차이가 발생함. Amazon RDS for MariaDB 요금 db.t4g.large 0.406 USD db.t4g.xlarge 0.813 USD Amazon RDS for Oracle 요금 db.t3.large 0.704 USD db.t3.xlarge 1.408 USD 2) 오픈 소스 및 상업용으로 이용 가능 MySql 과 비슷한 성능을 보이지만 상업용으로도 이용이 가능하여 채택함. 오라클을 사용할 정도의 대용량, 많은 트랜잭션이 일어나..
AIX(UNIX 계열)에서 crontab은 일정한 간격으로 실행해야 하는 작업을 예약하는 데 사용 크롭탭 조회 crontab -l 크론탭 파일 편집 crontab -e 크론탭 백업 crontab -l > /home/bak/crontab_bak.txt 크론탭 삭제 : 현재 사용자의 크론탭 파일에 등록된 모든 작업 삭제 crontab -r 크론탭 명령어 주석 처리 crontab -l | sed -e 's/\(.*명령어\)/#\1/' | crontab crontab 파일에서 2~4번째 줄을 출력 crontab -l | sed -n '2,4p 특정 패턴을 제외한 작업 목록을 출력 crontab -l | grep -v 'pattern': crontab
유튜브 강의(https://www.youtube.com/watch?v=htYYSszfzv0&t=5431s) 기본 기능 완료 예제의 경우, 필드 주입 AutoWired를 이용하는 듯 하다. -> 생성자 주입으로 적용해보기.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순환 참조를 방지할 수 있다. 순환 참조가 발생하면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 않습니다.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면 객체가 생성될 때 모든 의존성을 주입하므로 순환 참조가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2. 테스트 코드 작성이 편리하다.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면 단순한 POJO를 이용한 테스트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의존성을 명시적으로 주입하기 때문에 의존성 없이도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나쁜 냄새를 없앤다. 필드 주입이나 수정자..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